디지털 번호키라 부르기도 하고 디지털 도어락이 라고도 하죠. 한번 설정해둔 비밀번호 주기적으로 바꾸고 계시나요? 너무 자주 바꾸면 헷갈리기도 하겠지만 1년에 한 번 정도는 바꿔주는 게 좋을 것 같아요. 너무 안 바꿔주면 보안에 위협이 될 수 있는 부분이니까요. 그래서 오늘은 현관에 사용하고 있는 우리 집 도어락 비밀번호 변경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국내 제품들 대부분이 변경하는 방법은 비슷해요. 모델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는 있겠지만 맥락은 다 동일하니까 참고하셨으면 하고요. 요즘은 또 RFID라는 스티커를 이용해서 아이폰이나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뒷면에 부착해서 편리하게 사용하는 분들이 많으시더라고요. 여러분도 한번 사용해 보시면 편하실 거예요.
삼성 SHP-P710 도어락 비빌 번호 변경
요즘 아파트들 보면 삼성 도어락 많이 사용하시더라고요. 모델도 많은데 SHP-P710 이게 많이 보이고 저희 집도 이 모델이더라고요. 국민 도어락도 아니고... 아 맞다 그리고 이 도어락을 보면 설정한 비밀번호 말고 마스터 번호라고 해서 부동산이나 집주인, 건물주 분들만 알고 있는 마스터 번호라는 게 또 있더라고요.
얼마 전 뉴스 보니까 부동산에서 허락도 없이 마스터 번호로 문 열고 들어왔던 주거침입죄 영상을 보게 되었는데 소름 돋더라고요. 혹시 마스터 번호가 있는지 전세나 월세 들어가실 때 꼭 한번 확인해 보시는 게 좋겠네요. 사실 유무는 확인해야 하니까!
1. 도어락 비밀번호 변경하려면 문을 열어서 고정한 뒤 변경하는 게 편합니다.
2. 실내 쪽 도어락 기기를 보면 커버를 열 수 있는 버튼이 있어요. 저희 집은 위에 이렇게 버튼이 있지만 옆면에 있는 경우도 있고 아래쪽에 있는 경우도 있으니까 버튼을 눌러서 우선 커버 제거해 주세요.
3. 여기가 중요한 부분입니다. 배터리 근처에 버튼이 여러 개가 있죠. 이 중에 R로 시작하는 버튼이 어떤 도어락이든 있습니다. 제조사별로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R, REG, 10KEY 등 이런 식으로 쓰여있는 버튼입니다. 이 버튼이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변경까지 그리고 카드 등록도 하는 버튼입니다. 가장 중요하겠죠.
4. 뚜껑을 제거하면 보통 뒷면에 설명이 나와있긴 해요. 작은 글씨로 복잡하게 보이긴 하는데 방법들이 나와있으니까 참고하시고요. 그래도 큰 이미지로 이렇게 설명한 걸 보는 게 편하겠죠?
5. R, REG 이 버튼을 한번 살짝 눌러 주시면 앞면 번호들이 불이 들어와있을 거예요. 여기서 원하는 비밀번호를 눌러 주시면 됩니다. 4자리 이상 원하는 대로 비밀번호를 눌러주세요. *, # 버튼 누르지 말고 오로지 변경할 비밀번호만 눌러주세요.
저희 집은 9자리라서 애들이 어려워하더라고요. 아무래도 긴 비밀번호가 보안에 좋으니까요.
6. 그리고 다시 돌아와서 처음 눌렀던 R, REG 버튼을 한 번 더 살짝 눌러주세요. 그럼 삐 소리 나면서 변경이 된 겁니다. 아주 간단하죠? 예전에는 뭐 누르고 또 누르고 복잡했는데 지금은 대부분의 도어락이 이렇게 한번 누르고 비밀번호 설정하고 한번 마지막으로 눌러주면 끝난답니다.
한번 설정해둔 비밀번호를 너무 오래 사용하는 건 안 좋습니다. 못해도 1년에 한 번 정도는 변경해 주시는 걸 추천드리고요. 저희 집은 마스터 번호가 없는 모델이라서 다행이지만 삼성 도어락 SHP-P710 모델은 마스터 번호가 없다고 하네요. 혹시 모르니까 여러분들 집에 있는 거 확인해 보시고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서 여성 혼자 사시는 분들은 이중 장금 장치 설치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아무래도 세상이 세상인지라 이상한 사람들 많잖아요. 혹시 모를 일이 있으니까 항상 조심하고 안전에 유의해 주세요. 이상 도어락 비밀번호 변경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