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가스라이팅 뜻 유래 어떤 예시들이 있을까요?

by 영게임 2023. 2. 10.

 

가스라이팅이라는 게 나도 모르게 나오는 말이 될 수도 있고 본인도 모르게 당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게 친구나 연인 관계 혹은 지인이나 심지어 가족 관계있어서도 나타나는 상황인데요. 이 가스라이팅이라는 말을 어디선가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물론 장난삼아 가볍게 지나갈 수 도 있지만 그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최근 들어 이슈가 되고 있는 주제 중에 하나인데요. 과연 가스라이팅이라는 이 말은 무슨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한번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가스라이팅
어떤 사람의 심리상태에 조작이나 변화를 가해서 그 사람이 자기 자신에 대해서 불신하고 가해한 사람에게 지나치게 의존하게 되는 일종의 심리적 학대라고 보실 수 있습니다.

"상대방의 심리나 상황을 교묘하게 조작해서 지배력을 강화하는 행위"

 

가스라이팅 뜻

 

가스라이팅 유래는 어디서?

가스등(가스 라이트, Gaslight)이라는 영화에서 유래한 가스라이팅입니다. 말 그대로 영화를 보시면 전형적인 가스라이팅에 대한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한번 보시면 이해가 잘 되실 텐데요. 간략하게 요약하자면 이렇습니다.

남편은 재산의 목적으로 결혼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위층에 살고 있는 보석을 훔치려 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어두운 곳에서 보석을 찾으려면 등을 켜야 하잖아요. 벽에 달린 등에 불을 붙이게 되는데 예전에는 등이 연결이 되어있다 보니 하나의 등에 불을 붙이면 다른 나머지 등들은 희미하게 약해지게 됩니다.

 

가스라이팅 영화가스라이팅 유래

 

이 상황을 아내가 불이 작아지고 소리가 들리는 상황에 남편은 이 범행을 감추기 위해서 무슨 소리가 들린다는 거야? 잘못 보고 잘못 들었다고 조작을 하게 됩니다. "네가 잘못 들은 거야 아무 소리 안 들리고 아무 일도 없어!" 하면서 남편은 아내에게 이런 상황들을 왜곡을 시키면서 ... 이어지는 영화입니다. 

 

가스라이팅 어원가스라이팅

 

물론 영화가 나오기 전에 연극으로 먼저 회자가 되었었는데 실질적인 유명세를 알린 건 영화부터였답니다. 이 영화가 나오고부터 이상심리에 대한 명명한 현상, 사건, 심리 등이 이 영화에 응축되어 있답니다. 그래서 이상심리나 이상한 관계 같은 게 사람들에게 회자되기 시작한 것이죠.

 

 

 

심리적 지배가 강한 가스라이팅의 무서움?

다른 폭력들과는 다르게 가스라이팅의 경우 친한 사람이나 가까운 관계에서 쉽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연인, 부부, 자녀 관계, 가까운 직장동료 및 상사들 등 이런 가까운 사람들 사이에서 마치 애착의 관계의 모습을 보이기 때문에 이것이 정서적인 정신적인 학대라는 것을 깨닫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가스라이팅 무서움

 

신기하게도 가스라이팅이 사람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할 때 시작을 합니다. 사적인 대화로 깊은 관계를 맺고 시작이 됩니다. 친밀한 관계가 형성이 되고 나면 상대방의 실수에 대해서 민감하거나 화를 내기 시작합니다.

"너는 왜 맨날? 똑같은 실수를 반복하는 거니?"
상대를 마치 스스로를 문제가 많은 사람처럼 느끼게 만드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상대는 점점 자신에 대한 의심을 느끼게 되고 쌓이게 되면서 불확실성이 생기게 되겠죠. 그다음부터는 "내가 잘하고 있나?" 상대방에서 내가 잘하고 있는지 물어보게 되고 가해자의 판단을 기다리게 된다는 것입니다.

사람들이 네가 나한테 너무 심하게 대한다고 그러던데? 물어보게 되면 이런 답변을 듣게 됩니다.
"그들이 뭘 알아? 내가 널 더 잘 알지" 이러면서 사람을 고립시키고 주변과 피해자를 이간질해서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이 사람이 점점 논리적인 판단을 하기에는 문제가 있는 사람인 마냥 점점 상황은 고립이 되게 만듭니다.

 

가스라이팅 예시

 

심지어 심리적인 지배(가스라이팅)가 무서운 이유 중 하나가 내 주변 대인관계들을 모두 끊어놓게 된다는 점입니다. 가장 흔히들 쉽게 말하는 것 중에 이런 말이 있습니다.

"내가 널 가장 잘 아는데"
"내가 너를 위해서 말하는 거야.."
"정말 하기 어려운 건데, 이건 널 위해서 하는 거야"

이는 주변 사람들은 너를 위하지 않는다. 대신에 나는 너를 위해서 말하는 거다.
"저 사람이 말하는 건 너한테 안 좋은 거야!"

점점 주변 사람들과의 이간질하는 상황을 만들어서 사람을 고립시키는 상황까지 만든다는 겁니다.

 

이게 신기한 게 1:1 관계가 아닌 여러 사람들과의 사이에서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뭐 대표적인 예로는 교주와 신도들 사이일 수도 있고 독재자와 국민들이 될 수도 있고 심지어 집단과 집단이 될 수도 있답니다. 그리고 가스라이팅이 만들어지기 위해선 전제 조건이 깔리게 되는데 바로 상반되는 관계가 있어야 해요.

 

가스라이팅 뜻

 

쉽게 말해서 불균형한 권력관계가 조건에 있어야 하거든요. 주로 우월적인 지위를 가진 사람이 낮은 지위의 사람에게 일어나는 건데요. 우월적인 지위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인위적으로 주입하는 형식이고 경청할 수밖에 없는 종속적인 관계이 있겠죠. 사실 두 사람이 평등한 관계에서는 이 가스라이팅이라는 게 성립이 불가능할 수밖에 없는 거겠죠.

 

 

 

가스라이팅에서 벗어나려면?

※ 당신이 상대해서 그 사람을 바꿀 수 없다!라는 전재가 깔렸다면 말입니다.

여러 책에서도 공통되게 나오는 방법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도망가라"라고 하더라고요. 하지만 그 상대가 사랑하는 사람이나 가족이 될 수도 있거든요. 내가 책임져야 하는 사람이 가스라이터라면? 정말 도망치는 게 답일까? 하는 의문도 생기긴 하지만 전문가들 이야기의 공통된 방법은 이거뿐이더라고요.

그 사람과 경쟁하려 하지 말고 그 사람이 당신을 자극할 때, 맞서 싸우지 말고 가장 최선의 방법은 무감각하게 대하라는 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