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건강보험료 할인 절약 하려면 임의계속 가입자 신청하세요.

by 영게임 2022. 11. 24.

2023년 또 한 번의 '건강보험료' 인상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동안에는 매년 계속해서 오를 겁니다. 최저시급이 오르는 것과 동일하게 계속 오를 겁니다. 그것도 내가 번 수익에 대한 금액이 정해진 것도 아니고 %로 말입니다. 많이 벌면 그만큼 부담이 커지게 될 텐데요.

 

 

수치상 따져보면 해마다 1% ~ 3% 정도 인상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한 가지를 간과하고 넘어가는 부분이 있는데요. 건강보험료 하면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장기 요양 보험료'도 같이 상승한다는 겁니다. 미비하게 소수점 %로 오르다 보니 그냥 지나쳤던 것 같은데 2023년에 이 또한 0.91%나 인상이 됩니다.

 

2023년 건강보험료 인상2023년 건강보험료 인상

 

그래서 이번 주제는 조금이라도 힘든 시기에 건강보험료라도 줄여볼 수 있는 방법 몇 가지 방법을 알려드릴 테니 포스팅 끝까지 읽어보시고 절약하고 할인받는 방법 알아가셨으면 합니다.

 

건강보험료 할인 절약 방법

 

1. 건강보험료 임의 계속 가입하세요.

 

저는 직장가입자로 있다가 코로나 터지고 회사의 타격으로 인해서 어쩔수 없이 퇴사를 하게 되었습니다. 안 그래도 어려운 시기에 실업자가 되었어요. 다행히도 실업 급여로 1년을 버틸 수 있었습니다. 그 시기에 지역가입자로 전환이 되면서 건강보험료마저도 부담으로 오더라고요.

 

건강보험료 할인 실업 급여

 

이리저리 알아보다 보니 '임의 계속 가입자'이라는 제도를 알게 되서 바로 국민 건강공단으로 달려갔죠. 상담원이 너무나 친절하게 알려줘서 최대 3년은 직장 다닐 때 납부했던 금액보다 낮은 금액으로 납부할 수있게 하는 제도더라고요. 정말 모르고 살면 나만 손해라고 혹시나 퇴사하신 분들 계시면 하루빨리 신청해 보시길 바랍니다.

 

건강보험료 할인 건강보험공담

 

임의 계속 가입자 안내사항

 

1. 기존에 다니던 직장에 1년 이상 근무해야 합니다. (전 실업급여 받으면서도 가입이 가능했습니다.)

2. 지역가입자 피부양자 등록할 경우엔 등본에 나와있는 주소지가 같아야 합니다.

3. 최근 문의 폭주로 인해서(이건 365일) 상담전화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직접 공단 찾아가는 걸 추천합니다.

 

 

은퇴하시거나 지역가입자에 해당하시는 분들은 몇 가지 방법들로 건강보험료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는 방법들은 있습니다. 우리가 몰라서 그렇지 현실적인 방법들이 있어요. 직장가입자분들은 미리 준비하는 방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

 

 

2. 내가 타고 있는 자동차를 바꾼다.

가장 단순하게 직설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법입니다. 나라에서 지원하는 제도들 보면 조건사항에 재산이 빠지지 않죠. 들어가 있는 항목 중에 자동차는 무조건 들어갑니다. 자동차도 재산이기 때문에 건강보험료에 적용이 되는 거고요.

 

건강보험료 할인 절약

 

이전까지는 등록일 기준으로 차량 연수가 9년 이상 된 차량이나 지금 시기에 중고차 시세로 4천만 원 미만의 소형(1600cc 이하) 승용차 그리고 생계용 차량만 제외 대상이었습니다.

▶ 이제는 차량 가액 4천만 원 미만 모든 차량 면제 대상입니다. 4천만 원 이상 차량만 건강보험료 적용
차량 가격은 취득액 기준으로 산정하고 여기에 옵션 사항까지 전부 포함됩니다. 차량 가격 + 옵션 포함 4천만 원
▶ 중고차역시 구입가격이 아닌 차량 시세가격으로 적용이 됩니다.

 

 

3. 재산 비중 조절하기

기초연금은 예금이나 적금, 보험, 주식 등 금융 재산도 재산 산정에 들어갑니다. 하지만 건강보험료 재산을 산정할 때는 금융 재산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점을 고려해서 최근 금리 인상 많이 되고 있는 시기입니다.

 

예금이나 적금 같은 금융 재산을 늘리면 재테크에도 좋은 방법이지만 건강보험료 산정 기준 재산에는 안 들어가니까 차라리 이쪽으로 재산의 비중을 늘려가는 것도 방법이라 볼 수 있겠네요. (과도한 투자 말고 예금, 적금입니다.)

 

건강보험료 할인 절약

 

단, 금융 재산으로 발생한 이자소득이나 배당 소득은 건강보험료 부과 대상에 들어갑니다.

만 65세 기준 기초연금을 받을 때 기초연급 수급 자격 계산 시 금융자산이 포함되고 오히려 부동산보다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합니다. 그렇게 때문에 미리 모의계산을 해서 금융 재산을 어느 정도까지 소유하면 되는지 참고하세요.

 

 

4. 직장인 가입자라면 준비하기

개인연금 비중을 조금은 늘려보는 게 좋습니다. 코로나로 인해서 지출된 건강보험 기금도 상당할 뿐만 아니라 저출산 고령화 현상으로 인해서 앞으로 건강보험료 비중은 더 커질 겁니다.

 

국민연금을 비롯해서 공무원연금, 군인연금 등 공적연금은 건강보험료 부과 대상인 반면에 개인연금은 부과되지 않아요.

이렇게 되면 차라리 개인연금 비중을 좀 높여서 노후 준비를 하신다면 건강보험료에 대한 부담이 좀 줄어들겠죠.

 

 

 

5. 건강보험료 할인 신청하기

만약에 소득이나 재산이 줄었다고 하면 건강보험료 조정 신청이 가능합니다. 이때 미리 보험료를 줄일 수 있습니다. 직장가입자라면 뭐 알아서 자동으로 소득에 비례해서 보험료가 정해지지만 지역가입자는 전년도 소득에 대해서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하게 됩니다.

 

건강보험료 할인 절약 신청

7월  말까지 종합소득세 계산을 통해서 건강보험료가 산정이 되기 때문에 소득 발생 시점이랑 건강보험료 부과되는 시기랑 7개월에서 11개월까지 차이가 납니다.

 

이때 전년도 소득이 줄인 분들은 7월에 미리 건강보험료 조정 신청하면 6월분 건강보험료까지 인하되고 8월 이후에 신청하면 신청일이 속해있는 달부터 보험료가 인하됩니다.

 

※ 신청 시 소득 금액증명원 발급받아서 건강보험료 조정 신청 가능합니다.

 

건강보험료 할인 절약 유지

 

6. 직장가입자를 유지하는 방법

잘 생각해 보면 직장가입자는 재산이 건강보험료에서 산정기준 안되고 오로지 소득으로만 산정이 됩니다. 그러다 보니 재산이 많은 경우엔 은퇴를 하더라도 직장인 가입자를 유지하는 방법을 찾아서 계속 유지하는 게 이득이겠죠. 

 

이 방법은 수백억 원대 자산가들도 이렇게 하고 월 2만 원 ~ 월 7만 원 내고 있는 게 지금의 상황이니까 우리라고 이러지 말라는 법 없잖아요. 은퇴 후에도 복지나 사회 공헌적인 일을 찾아서 유지하시는 게 좋겠네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