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라면 유통기한 지난거 먹어도 될까? 90%가 잘못알고있는진실

by 영게임 2022. 12. 4.

식품을 구매하다 보면 우리들 눈에 들어오는 게 '유통기한'입니다. 물건을 사두고 먹지 않고 있다가 아차 싶어 유통기한이 지난 물건들 특히 라면같은 걸 보면 이걸 먹어야 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이 엄청 됩니다. 과연 유통기한이 지나도 먹어도 되는 건지 그 진실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무조건 버리는 게 맞다? 아니면 그냥 먹어도 된다? 가장 민감한 것 중 대표적인 게 바로 '우유'입니다. 우리들 우유 살 때 냉장고에서 유통기한이 가장 오래 남은 것을 안쪽에 있는 걸 골라서 사잖아요. 보통 우리는 남은 기한 내에 맞춰서 식품을 섭취하기도 하고 얼마 남지 않은 것들 보면 먹고 싶지 않아도 억지로 먹는 경우도 많습니다.

 

라면 유통기한 지난거 먹어도 될까?

 

유통기한은 뭐고? 소비기한은 뭘 까요?

 

라면 유통기한 및 소비기한

 

유통기한은 : 유통 업체가 소비자에게 판매해도 되는 기한을 말합니다.

소비기한은 : 소비자 입장에서 '이 식품을 섭취해도 안전할 것이다'라고 인정되는 소비의 최종 기한입니다.

유통기한이 지났다는 이유로 낭비를 줄이고자 도입한 게 소비기한 제도입니다.

 

보통 우리는 유통기한이 먹어도 되는 날짜로 개념을 가지고 있잖아요. 그러다 보니 유통기한 지난 식품을 먹으면 안 되니까 많이 버려지고 있는 겁니다. 이렇게 불필요한 손실이 계속 발생되니까 국제 기준에 맞춰 유통기한이 아닌 소비기한 제도를 빨리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는 겁니다.

 

 

 

 

우리나라도 2023년부터 소비기한 적용됩니다.

유통기한이 지나지 않았다 하더라도 유통과정 중에 보관상의 부주의라든지 사고로 인해서 변질이 되거나 부패가 일어날 수가 있기 때문에 이 식품은 정상적인 유통이 되었다는 가정 하에서 유통기한이 지나도 드실 수 있다고 이야기하는 겁니다.

 

내년부터 유통기한을 보는 게 아니라 소비기한을 보고 결정하시면 된답니다. 조금은 수월해졌네요. 매번 유통기한 헷갈렸는데 말이죠.

 

라면 유통기한 지난거 먹어도 될까?

 

라면 유통기한 지난거 먹어도 될까?
라면 유통기한 지난거

 

라면은 우리나라 많은 분들 정말 좋아하시잖아요. 특히나 비상식량으로 뭐 난리 나면 마트 가서 라면 한 박스씩 사시잖아요. 바로 비상식량으로 알아주기 때문입니다.

 

포장지가 이상 없이 멀쩡하다면 유통기한 후 8개월까지 두셔도 크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봉지 라면은 면이 기름에 튀겨서 나온 유탕면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기름의 산화작용으로 인해가지고 면의 식감이라든지 맛에 변화가 있을 수가 있기 때문에 가능한 한 빨리 드시는 게 좋겠죠.

 

 

라면 유통기한 지남라면 유통기한 지남

 

유통기한이 지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습기가 많은 곳이라든지 햇볕이 많이 드는 곳 라면이 노출되거나 포장지가 손상이 되어있다. 하시면 상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포장지 조금이라도 뜯겨 있으면 의심하셔야 합니다.) 라면을 끓이기 전에 면 상태 확인하고 수프 상태 확인하셔야 합니다.

 

라면 유통기한 지난거 먹어도 될까?
라면 유통기한 지난거 먹어도 될까?

 

라면이라고 해도 생각보다 오래가는 건 안 좋겠죠. 보통 면이 6개월 정도고 수프가 8개월 정도 간다고 하는데 라면도 너무 쌓아두지 마시고요. 우리 집은 라면이 떠날 날이 없던데.. 저는 최고의 라면을 너구리라고 생각하거든요. ㅎㅎㅎ 오동 통통 내 너구리! 암튼 여러분 라면 유통기한이 지났다 하더라도 제조일로부터 5개월 정도는 괜찮다고 하니까 참고하시고요.

 

보통 이렇게 되면 소비기한이 3개월 정도 더 들어가니가 최종 우리가 먹어도 되는 건 제조일로부터 8개월 정도 생각하시면 괜찮을 것 같네요. 그리고 이때 라면 상태 꼭 체크하고 드시길 바랍니다.

 

 

 

그럼 가장 헷갈리는 우유는 어떨까요?

 

우튜 유통기한 지난거

 

냉장온도에서 0도 ~ 4도 정도 잘 유지가 되었다 가정하에 실험 결과에서도 50일 동안 세균이나 대장균이 증가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치즈도 마찬가지로 증가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래도 뭔가 의심이 되는 건 냄새나 색깔 그리고 맛에서 이상 신호가 있을 겁니다. 시큼한 냄새나 우유팩이 부풀어 있는 경우 또는 우유에 조금이라도 덩어리가 발견된다고 하면 이건 절대 드시면 안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