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이나 조문을 갔을 때 등 절을 해야 하는 자리가 종종 있습니다. 그런데 절을 할 때 손을 가지런히 모아서 절을 하잖아요. 이때 왼손이 위로 가야 하는지 오른손이 위로 가야 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도 아리송할 때가 있었는데 절을 할 때 살짝 손가락만 겹치는 식으로 했던 기억이 납니다.
이제 얼마 있으면 설날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미 신정은 지나가고 구정이 기다리고 있죠. 세배를 할 때 이왕이면 오늘 알려드리는 정보가 도움이 돼서 제대로 된 세배를 하셨으면 합니다. 남자와 여자는 반대입니다. 과연 절할 때 손은 어떻게 맞잡아야 하는지 지금 공개합니다.
세배 절할 때 손 위치 남자 여자 절하는 방법
손을 맞잡는 걸 공수법이라고 합니다. 공이라는 뜻은 맞잡는다는 뜻이고 수는 손을 말하는 거겠죠. 두 손을 어떻게 맞잡는지를 정한 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물론 이런 거 따지지 않고 그냥 해도 상관없는 부분입니다. 하지만 예부터 우리나라는 동방 예의지국이잖아요. 알 건 알아야 하기 때문에 이왕이면 예를 지키는 게 좋겠죠.
'남좌여우' 이 말을 기억해 주세요.
남자는 왼손을 위로 여자는 오른손을 위로입니다.
왜? 남자와 여자는 손의 위치가 다를까요? 남녀평등이랑은 다른 개념입니다. 양과 음의 이치를 자세에서도 표현한다는 의미로 구분하기 때문에 손의 위치가 다른 것뿐입니다.
세배를 할 때도 어른을 뵙고 절을 할 때든 차례나 제사 때 올리는 절은 다 이렇게 '남좌여우'로 절을 하시면 됩니다. 대신에 한 가지만 다른데요. 바로 슬픈 일일 때 바로 장례 때만 반대로 하면 됩니다. 이때는 '남우여좌'입니다. 크게 헷갈릴 필요 없이 남자는 왼손을 위로만 기억하고 계셨다가 장례식에 조문을 가거나 할 때만 반배로 절하시면 된답니다.
※ 제사도 슬픈 일이 아닌가? 생각이 드실 겁니다. 하지만 제사나 차례 같은 경우에는 예법상 일상적인 행사로 보이기 때문에 슬픈 일에 들어가지 않습니다.
세배 절할 때 발 위치
그럼 손은 이렇게 올리면 되는 거고 발은 어떻게 포개애 하는 걸까요? 절을 할 때 발도 가지런하게 하셔야 합니다. 남자는 왼발이 위로 가게 여자는 오른발이 위로 가게 절을 하시면 됩니다. 손은 장례식 때 바뀌지만 발의 경우엔 기쁜 일 슬픈 일 구분 없이 모든 절을 할 때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
동생에게도 절을 해야 하나요?
기쁘고 웃을 수 있는 자리에서는 남자는 왼쪽 여자는 오른쪽만 기억하시면 되고요. 대신에 장례식이나 조문을 갔을 때 팁을 하나 드리자면 고인 모두에게 절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
보통 고인의 경우엔 무조건 절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시는데 나보다 아랫사람의 경우엔 절을 하지 않습니다.
절이라는 건 웃어른과 친구에게까지만 하는것입니다. 그래서 아랫사람에게는 절을 하지 않는 게 조문의 예절입니다.
어른은 그렇다 치지만 친구는 왜 절을 할까 궁금하실 텐데요. 친구는 상하가 없고 살아있어도 맞절을 하는 상대이기 때문에 절을 올리는 게 맞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