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기 인터넷 연결이 먹통인가요? 아니면 인터넷이 잘 되다가 안되고 또 연결되고 이런 반복 증상이 나타나시나요? 혹은 엄청나게 버벅대는 상태인가요? 아마 이 중에 하나는 증상이 있으실 겁니다. 급기야 'Window 네트워크 진단' 눌러서 원인을 찾아보시는 분 대부분 비슷한 절차를 겪고 고민에 빠지십니다. 그 해결 방법을 공유해 드립니다.
90% 이상 이 문구를 보고 폭풍검색
DNS 서버가 응답하지 않습니다.라는 문구를 보시게 됩니다. 잘 아시는 분이야 해결하시겠지만 이런거 본 적 없는분이 더 많으실겁니다. 이 증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특정지 어서 말씀드릴 수는 없지만 대부분 혼선에 의한 오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럼 이거 어떻게 해결할까요?
1. 가장 먼저 전부 OFF
컴퓨터와 연결된 모든 기기는 전부 OFF 합니다. 모뎀부터 공유기까지 전부 OFF 하신 뒤에 몇 분지 나서 다시 모든 기기를 켜주세요. 아무것도 아닌 부분에서 해결이 되기도 합니다. 가장 첫 번째로 해야할 일입니다. 그리고 연결된 케이블 선이 너무 빡빡한 상태인지 확인해 봅니다.
2. 인터넷 사용하는 해당 통신사 고객센터 문의하기
컴퓨터 만지기 이전에 먼저 해당 통신사 고객센터에 문의합니다. 저는 SK를 사용하는데 늦은 저녁시간 6시 넘어서도 상담이 가능했습니다. 예전에는 상담 시간이 있었는데 지금은 통화가 가능하더라고요. 그리고 지금 나타나는 증상을 설명해 주세요.
상담사 문의
해당 주소지 와 계약자 본인인증은 하더라고요. 그리고 인증 완료되면 지금 연결돼 있는 인터넷 상태를 확인해 줍니다. 정상적으로 인터넷이 활성화되어있는지 혹은 외부요인으로 동네 케이블에 문제가 있다든지 상태를 알려주실 겁니다.
보통의 경우 여기서 해결이 되긴 하지만 정상적으로 작동된다고 할 때가 문제가 되겠죠. 이때가 되면 이제 강제적인 방법으로 dns 서버가 응답하지 않습니다 문제를 해결해 봅니다.
3. 강제적으로 DNS서버 연결을 작동시키기
이 방법은 윈도우 버전 상관없이 동일한 경로로 진행이 됩니다. 또한 임시 방법이 될 수도 있으니까 연결이 정상적으로 되더라도 점검을 받아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 두 가지 방법으로 네트워크 상태에 진입이 가능합니다.
- 제어판 ▶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
- 윈도우 검색창에 네트워크 상태 검색하기
제어판에서 네트워크 공유센터로 이동하면 현재 연결된 네트워크 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컴퓨터 가 문제가 생겨 들어간 경우엔 '이더넷'이라고 나와있습니다. 노트북의 경우엔 WIFI 상태로 나와있을 겁니다. 둘 다 동일한 거니까 맞춰서 클릭해 주세요.
두 번째는 윈도우 검색창에 바로 '네트워크 상태' 검색하시면 메뉴가 보입니다. 둘 다 동일한 방법인데 인터페이스가 다르니까 저는 아래 방법을 선택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네트워크 상태 메뉴 페이지 설명
바로 여기가 dns 서버가 응답하지 않습니다. 문제를 해결하는 곳입니다. 저는 인터넷이 연결된 상태니까 이렇게 나오지만 보시는 분들은 아마 인터넷이 연결 안 되어 있다고 나올 수도 있고 인터넷은 연결이 되었는데 응답 안 되는 경우가 있을 겁니다. 우선 상관하지 마시고 스크롤을 내려보면 '어댑터 옵션 변경' 메뉴를 클릭합니다.
2. 현재 연결된 네트워크 우 클릭
그럼 현재 연결된 네트워크 하나가 보이실 겁니다. 여기서 우 클릭을 하시면 메뉴창이 열리는데 맨 하단에 있는 속성 탭을 눌러주세요. 이 속성탭을 통해 해결하는 방법입니다.
3. 이더넷 속성 항목 찾기
속성 탭을 보시면 중간에 이 연결에 다음 항목 사용 박스가 있습니다. 이 중에서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4(TCP/Ipv4) 항목을 찾아주세요. 활성화가 안되어져 있다면 클릭 한 번 하면 바로 활성화됩니다. 선택이 되셨다면 바로 아래 속성을 클릭합니다.
4. 다음 DNS 서버 주소 사용
이제 다 왔습니다. 바로 이 화면에서 다음 DNS 서버 주소 입력하는 곳이 있습니다. 체크를 하시면 숫자 입력할 수 있게 활성화가 열리게 됩니다. 이곳에 해당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고정 서버를 입력해 주시면 끝납니다.
각 통신사 별로 고유 서버주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건 전국 어디서나 동일하기 때문에 SK/LG/KT 등등 해당하는 서버 값을 그대로 써주세요. (이건 직접 타이핑하셔야 합니다.) 입력 다하셨다면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OK!
여기까지 따라 하셨다면 대부분의 경우 특이한 경우 빼고는 정상적으로 인터넷이 연결이 되실 거예요. 그리고 통신사별 고유 서버 주소는 아래에 올려둘 테니까 참고해 보시길 바랍니다.
통신사 고유 서버 주소
통신사 | 기본 설정 DNS 서버(P) | 보조 DNS 서버(A) |
SK | 210 . 220. 163. 82 | 219. 250. 36. 130 |
KT | 168. 126. 63. 1 | 168. 126. 63. 2 |
LG+U | 164. 124. 107. 9 | 203. 248. 242. 2 |
※ 위와 같은 방법으로 해도 해결이 안 되는 경우엔 원인이 다른 곳에 있습니다. 간혹 공유기 문제로 인해서 해결이 안 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는 고객센터 다시 문의해서 기사님 방문해달라고 신청해 보세요. 아쉽지만 알려드린 임의 방법으로 안되면 기사님 방문해서 문제점 찾는 게 가장 스트레스 안 받아요.
자 다음 시간에도 유용한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이 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 꾸욱 한번 부탁드립니다.
댓글